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관리사

[네트워크 문제] 네트워크 OSI 7계층 - 문제만 두번째

by 한나미디어 2020. 10. 14.

25. OSI 모델에서 데이터 전환과 암호, 압축, 그래픽 명령어 해석 기능을 가지는 계층은?

     Application Layer                       Transport Layer

     Session Layer                           Presentation Layer

 

48. Repeater가 동작하는 OSI 7 Layer의 계층은?

     물리 계층                             ② 응용 계층

    ③ 데이터링크 계층       ④ 네트워크 계층

 

22. OSI 참조 모델 중 물리적인 링크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은?

     Datalink Layer                           Transport Layer

     Physical Layer                           Session Layer

 

26. OSI 7 Layer Protocol을 연결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Application : FTP, SNMP, Telnet

     Transport : TCP, SPX, UDP

     DataLink : NetBIOS, NetBEUI

     Network : ARP, DDP, IPX, IP

 

48. Router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네트워크상의 패킷을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OSI 7 Layer Transport 계층에 대응된다.

    ③ 하드웨어에 따라 패킷을 다시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거나, 또는 재조립하고, 이들을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캡슐화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④ 패킷 전달을 위해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

 

9. OSI 7 Layer 중 네트워크 계층 Protocol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RP                                      ICMP

    SNMP                                   IGMP

 

24. OSI 7 Layer의 각 Layer Data 형태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Transport Layer - Segment

Network Layer - Packet

     Datalink Layer - Fragment

Physical Layer - bit

46. OSI 7계층 중에서 리피터(Repeater)가 지원하는 계층은?

    물리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전송 계층                        ④ 응용 계층

 

18. OSI 7 Layer를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물리 → 데이터 링크 → 전송 → 네트워크 → 세션 → 표현 → 응용

    ② 데이터 링크 → 물리 → 전송 → 네트워크 → 세션 → 응용 → 표현

    ③ 전송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 물리 → 세션 → 표현 → 응용

     물리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46. 라우터(Router)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물리적인 주소를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을 Forwarding 한다.

    ②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길이를 확장하여 하나의 충돌영역을 갖는다.

    ③ 신호나 커넥터의 연결 형태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비이다.

    패킷 전송 시 논리적인 주소인 IP Address를 기초로 하고 OSI 참조모델 중 3계층 장비이다.

 

21. OSI 7 Layer 중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① 세션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전송 계층                             프리젠테이션 계층

 

25. OSI 7 계층 중 비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전환하며, 순환 잉여 검사(CRC)를 수행하는 계층은?

    ① 트랜스포트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④ 물리적 계층

 

20. OSI 7 Layer의 각 Layer Data 형태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Transport Layer - Segment

Network Layer - Packet

     Datalink Layer - Fragment

Physical Layer – bit

 

22. OSI 7 Layer에서 암호/복호, 인증, 압축 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계층은?

     Transport Layer                         Datalink Layer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 Layer

 

25. OSI 7 Layer의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들만으로 구성된 것은?

     ICMP, NetBEUI                          IP, TCP

     TCP, UDP                             NetBEUI, IP

 

48.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TCP/IP의 트래픽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트래픽상의 신호재생과 증폭을 하여 유효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OSI 7 Layer에서 3계층에 해당한다.

    ④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준다.

 

18. TCP/IP Suite OSI 7 Layer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Telnet - 전달 계층                     TCP/UDP - 세션 계층

    IP - 네트워크 계층                      Ethernet - 표현 계층

 

24. OSI 7 Layer 2 계층에 해당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근거리 통신망(LAN)의 어느 계층에 해당되는가?

     CSMA/CD 및 논리링크제어(LLC)

    ② 물리 접속 및 매체액세스제어(MAC)

    ③ 논리링크제어(LLC) 및 상위 레벨(HILI)

    논리링크제어(LLC) 및 매체액세스제어(MAC)

 

11. OSI 7 Layer에 따라 프로토콜을 분류하였을 때, 다음 보기들 중 같은 계층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은?

     SMTP                                  RARP

     ICMP                                   IGMP

 

20. OSI 7 Layer 중 논리링크제어(LLC)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를 사용하는 계층은?

    ①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③ 네트워크 계층                            ④ 응용 계층

 

47. 아래 장치 중 OSI 7 Layer의 물리 계층에서만 사용되는 장비는?

    ① 브리지(Bridge)                       리피터(Repeater)

    ③ 게이트웨이(Gateway)                          ④ 라우터(Router)

 

19. OSI 7 Layer에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계층으로 올바른 것은?

    ① 세션 계층(Session Layer)

    ②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④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22. OSI 7 계층 모델 중 트랜스포트 계층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인접한 호스트들 간의 에러제어 및 흐름제어 기능이 있다.

    ② 라우팅 및 Addressing 기능을 제공한다.

    ③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장치 간 전송을 담당한다.

    네트워크계층에서 제공하는 QoS(Quality of Service)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를 판단한다.

 

12. TC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비연결 지향형이다.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어이다.

    ④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18. OSI 7 Layer에서 Data Link 계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송 오류 제어기능                             Flow 제어기능

    Text의 압축, 암호기능                               Link의 관리기능

 

27. OSI 7 Layer의 계층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세션 계층 - 응용 계층

    ②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세션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응용 계층

    ④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응용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26. OSI 7 Layer 중 세션계층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화 제어                 에러 제어

    ③ 연결 설정 종료         ④ 동기화

 

49. OSI 7 Layer 중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는?

     Repeater                  Router

     Bridge                     NIC

 

13. OSI 7 계층의 통신 계층별 PDU(Protocol Data Unit)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7계층 : 세그먼트                        4계층 : 패킷

     3계층 : 비트                              2계층 : 프레임

 

18. OSI 7 Layer에서 암호/복호, 인증, 압축 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계층은?

     Transport Layer                         Datalink Layer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 Layer

 

21. OSI 7 계층 모델 중 트랜스포트 계층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인접한 호스트들 간의 에러제어 및 흐름제어 기능이 있다.

    ② 라우팅 및 Addressing 기능을 제공한다.

    ③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장치 간 전송을 담당한다.

    네트워크계층에서 제공하는 QoS(Quality of Service)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를 판단한다.

 

47. OSI 참조모델의 물리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Gateway                              Bridge

     Router                                  Repeater

 

19. OSI 7 Layer 중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① 세션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전송 계층                             프리젠테이션 계층

 

25. OSI 7 Layer 중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한 OSI 7 Layer 중 세 번째 계층에 해당한다.

    ② 비트를 프레임화 시킨다.

    ③ 전송, 형식 및 운용에서의 에러를 검색한다.

    ④ 흐름제어를 통하여 데이터 링크 개체간의 트래픽을 제어한다.

 

46. Hub가 사용하는 OSI 계층은?

    물리 계층                               ② 세션 계층

    ③ 트랜스포트 계층                         ④ 애플리케이션 계층

18. OSI 7 Layer에서 Data Link 계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송 오류 제어기능                             Flow 제어기능

    Text의 압축, 암호기능                               Link의 관리기능

 

46. OSI 7계층 중에서 리피터(Repeater)가 지원하는 계층은?

    물리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전송 계층                             ④ 응용 계층

 

49.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TCP/IP의 트래픽 경로제어를 한다.

    ② 네트워크를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트래픽상의 모든 신호의 재생과 유효거리를 확장한다.

     OSI 7 Layer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서비스를 한다.

 

22. 인터넷 프로토콜들 중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지 않는 프로토콜은?

     IP                                        ICMP

     UDP                                     ARP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