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관리사

[네트워크 답안] 네트워크 라우터, 허브, 리피터 - 세번째 답안

by 한나미디어 2020. 10. 15.

46.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Connection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연결된 각 포트마다 전용 대역폭 할당이 가능하여, 연결된 장치의 수에 따라 주고받는 데이터의 속도가 낮아지지 않고,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은?

    Switching Hub                            Repeater

     Dummy Hub            Bridge

 

47. 네트워크 장비 중 분배의 기능을 담당하고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해 줄때 사용하는 것은?

     Hub                                     Bridge

     NIC                                      UTP

 

50. 스위칭 허브(Switch Hu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리피터 회로가 내장되어 메모리는 각 포트 단위로 연결된 노드 주소를 기억

    ② 프로세서는 전송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고, 패킷이 정해진 목적 포트로만 전송

     노드간 충돌이나 연결된 노드의 고장으로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면 전체 노드에 영향을 미침

    ④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며, 패킷 충돌이 없어 효율을 높일 수 있음

 

50.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연결을 할수 있는 장비로써 각 포트마다 전용 할당이 가능하고, 연결된 장치 수량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며 속도가 떨어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장치는?

     Router                                  Switch HUB

     Repeater                              Dummy HUB

 

47.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연결을 할수 있는 장비로써 각 포트마다 전용 할당이 가능하고, 연결된 장치 수량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며 속도가 떨어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장치는?

     Router                      Switch HUB

     Repeater                              Dummy HUB

 

50. 스위칭 허브(Switch Hu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리피터 회로가 내장되어 메모리는 각 포트 단위로 연결된 노드 주소를 기억

    ② 프로세서는 전송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고, 패킷이 정해진 목적 포트로만 전송

     노드간 충돌이나 연결된 노드의 고장으로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면 전체 노드에 영향을 미침

    ④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며, 패킷 충돌이 없어 효율을 높일 수 있음

 

50. Dummy Hub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OSI 7계층 중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② 허브는 전기적인 신호를 재생한다.

     패킷에 있는 IP주소를 검색하여 패킷을 라우팅 한다.

    ④ 허브로 연결되어 사용 중인 컴퓨터의 수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떨어진다.

 

46. Hub가 사용하는 OSI 계층은?

    물리 계층                               ② 세션 계층

    ③ 트랜스포트 계층                         ④ 애플리케이션 계층

 

47. 리피터(Repeater)를 사용해야 될 경우로 올바른 것은?

    ①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을 때

    ② 세그먼트에서 사용되는 액세스 방법들이 다를 때

    ③ 데이터 필터링이 필요할 때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되는 거리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46.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검색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은?

     MAC Address 테이블 NVRAM

    ③ 플래쉬(Flash) 메모리                           라우팅 테이블

 

49.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TCP/IP의 트래픽 경로제어를 한다.

    ② 네트워크를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트래픽상의 모든 신호의 재생과 유효거리를 확장한다.

     OSI 7 Layer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서비스를 한다.

 

46. 네트워크상에 발생한 트래픽을 제어하며, 네트워크상의 경로 설정 정보를 가지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장비는?

    ① 브리지(Bridge)         라우터(Router)

    ③ 리피터(Repeater)                       ④ 게이트웨이(Gateway)

 

47.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검색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은?

     MAC Address 테이블                               NVRAM

    ③ 플래쉬(Flash) 메모리                            라우팅 테이블

 

46. 라우터(Router)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물리적인 주소를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을 Forwarding 한다.

    ②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길이를 확장하여 하나의 충돌영역을 갖는다.

    ③ 신호나 커넥터의 연결 형태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비이다.

    패킷 전송 시 논리적인 주소인 IP Address를 기초로 하고 OSI 참조모델 중 3계층 장비이다.

 

48.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TCP/IP의 트래픽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트래픽상의 신호재생과 증폭을 하여 유효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OSI 7 Layer에서 3계층에 해당한다.

    ④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