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 오토핫키로 무작정 코딩하기
강의 전체 목차(하이퍼링크달아놨어요~) ==> [목차] 오토핫키 기초강의
2.1 오토핫키의 시작과 종료(return, Msgbox, Exitapp)
2.2 오토핫키 Send, Click, Sleep, WindowSpy (Active Window Info)
2.3 WindowSpy (Active Window Info) 사용법
안녕하세요. 한나미디어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접하신 분들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WindowSpy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WindowSpy를 열었을 때!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걸 확인 하실 수 있어요.
제가 임의로 빨간색 동그라미 친 부분에
마우스 클릭을 해봤습니다.
(즉, 빈메모장을 내부를 클릭한 상태입니다)
이 기준을 가지고 WindowSpy 노란 박스와 파란색 박스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노란 박스는 Window Title 입니다.
제가 선택한 메모장의 이름은 제목 없음 - 메모장입니다.
이 제목을 활용해서 메모장을 열 수 있습니다
또는
ahk_class Notepad
ahk_exe notepad.exe
이걸 대신 사용할 수도 있구요.
이렇게 글로만 설명하면, 모르겠죠?
실습 하나 해보겠습니다.
1. 바탕화면에 빈 폴더 하나 생성해주세요(RUN 실습)
2. RUN 실습 폴더 안에, 메모장 하나 만들어주세요.
(메모장 이름은 "제목 없음 - 메모장"으로 했습니다)
(메모장 이름은 아무거나 해주셔도 상관없습니다!)
3. 오토핫키 스크립트 하나를 생성해주세요.
(F1키와 F2 키를 눌렀을 때 어떤 반응을 하는지 확인 가능한 소스코드입니다)
자, 실습 해보세요.
F1 키를 눌렀을 때, 어떤 메모장 창이 뜨는지 확인해보세요
F1 키를 눌렀을 때는 "안녕하세요 한나미디어입니다^^" 내용이 담긴 메모장이 열릴꺼에요
F2 키를 눌렀을 때는 빈 메모장이 열려요.
차이점이 느껴지시나요?
윈도우 이름을 지정하면, 특정 메모장이 뜨게끔 할 수 있습니다.
빈 메모장을 띄울 때는 ahk_exe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더 깊이! 설명 드리고 싶으나..
우선은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추후 응용예제 강좌 쯔음?
자세히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그 다음 파란색 박스 설명 드릴께요
이건 Mouse Position 이예요.
이 강좌는 초보를 위한 강좌이기 때문에,
Screen 과 Window 두가지만 설명드리겠습니다.
client 는 GUI 할때 설명드릴꺼구요
color는 필셀서치 강좌 때 하도록 하겠습니다.
1. Screen
모니터 화면을 기준 좌표입니다.
이 포스팅의 가장 첫 이미지를 다시 봐주세요.
빈 메모장을 클릭했을 때 window spy에 띄워진 모습입니다.
모니터를 기준으로 마우스 클릭한 좌표는
616, 306 이예요.
2. Window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 화면 기준 좌표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요.
(0, 0) 좌표가 모니터 기준이 아니라,
제가 활성화 시킨 메모장 기준이 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모니터기준 0,0 지점에 마우스를 클릭해서
스크린 샷을 찍어 봤습니다.
모니터 왼쪽 상단에 (빨간색별표시 부분) 클릭을 했더니,
window spy mouse position 부분이 0,0으로 나왔습니다.
그 다음 활성화되어 있는 메모장의 왼쪽 상단 부분(빨간색별표시)을
클릭해봤습니다.
window spy mouse position 확인해보세요.
최대한 0,0 으로 맞추려고 노력해봤으나... ... ... ...
아무튼! 활성화 메모장 창을 기준으로 window 좌표는 0,2 입니다.
screen 즉 모니터 기준으로 빨간색 별표 부분 좌표는
572, 258 입니다.
자!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screen과 window 좌표만 잘 구분 하신다면,
간단한 매크로는 손쉽게 만드실 수 있답니다.
(물론! 실습을 하셔야 이 두좌표가 구분 되실껍니다
자세한 예제는 추후에 다루겠습니다)
기초강의에 필요한 부분만 설명 드리고 넘어 가고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다른 블로거 포스팅을 참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때 뵙겠습니다.^^
'오토핫키기초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핫키 3강] 3.2 조건문(if문)과 변수의 만남 (0) | 2020.01.07 |
---|---|
[오토핫키 3강] 3.1 오토핫키 변수 개념 익히기 (0) | 2019.12.13 |
[오토핫키 2강] 2.2 오토핫키 Send, Click, Sleep, WindowSpy (Active Window Info) (0) | 2019.12.07 |
[오토핫키 2강] 2.1 오토핫키의 시작과 종료(return, Msgbox, Exitapp) (0) | 2019.12.05 |
[오토핫키 1강] 1.3 오토핫키 도구 (SciTE4AutoHotkey 설치) (1) | 2019.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