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관리사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허브,라우터,리피터 요점 및 기출문제 (풀이동영상포함)

by 한나미디어 2020. 10. 25.

안녕하세요. 한나미디어입니다^^

 

2016년도~ 2019년도 네트워크관리사 기출문제를 

키워드별로 분석해보았습니다.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에서

자주 출제 되는 키워드(허브,라우터,리피터) 별로 분류하였으니,

이 점 참고하셔서 공부하시면 도움 될 듯 합니다. 

 

기출문제 답안은 자주 출제 되는

허브,라우터,리피터 풀이 동영상에서 확인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이론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근거리 통신망(LAN)
핚 건물 또는 공장, 학교 구내, 연구소 등의 일정지역 내의 설치된 통싞망으로서 각종 기기 사이의 통싞을
실행하는 통신망

LAN 통신망 장비 종류

① 라우터 –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네트워크 계층 갂의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함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네트워크계층
② 브리지 – 같은 LAN 프로토콜을 지닌 두 LAN을 연결하는 것으로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연결
③ 허브 –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비
④ 리피터 –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여 네트워크 길이를 확장하여 깨끗핚 싞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 - 물리
계층
⑤ 스위치 – 패킷이 전달되어야 핛 경로를 제공해주는 역핛 담당
⑥ 게이트웨이 – 완전히 다른 프로토콜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하도록 함


youtu.be/8FXwpql88J4


 01. 네트워크 장비 중 분배의 기능을 담당하고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해 줄때 사용하는 것은?

     Hub  ② Bridge

    ③ NIC  ④ UTP

 

 02. 다음 중 Hub의 종류와 설명이 올바로 연결된 것은?

     ① Dummy Hub – 가격이 비싸고 기능이 많은 지능형 허브이다.

     ② Passive Hub – Active Hub 보다 먼 거리를 연결할 수 있다.

     ③ Intelligent Hub – 망 관리 기능 등의 부가적인 기능이 있다.

     ④ Active Hub - 전원 공급 장치가 따로 없어서 신호재생이나 증폭이 불가능하다.

 

 03.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Connection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연결된 각 포트마다 전용 대역폭 할당이 가능하여, 연결된 장치의 수에 따라 주고받는 데이터의 속도가 낮아지지 않고,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은?

     Switching Hub  ② Repeater

     ③ Dummy Hub  ④ Bridge

 

 04. 스위칭 허브(Switch Hu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리피터 회로가 내장되어 메모리는 각 포트 단위로 연결된 노드 주소를 기억

     ② 프로세서는 전송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고, 패킷이 정해진 목적 포트로만 전송

     ③ 노드간 충돌이나 연결된 노드의 고장으로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면 전체 노드에 영향을 미침

     ④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며, 패킷 충돌이 없어 효율을 높일 수 있음

 

 05. 네트워크 연결 장치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Repeater - 스타 토폴로지를 가진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② Bridge - 단순히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킴으로써 케이블 최대 길이의 한계를 넘어서 네트워크 길이를 연장시킨다.

     ③ Dummy Hub - 각 패킷의 MAC Address를 모니터링 하여 모든 세그먼트로 보내질 필요가 없는 패킷을 필터링한다.

     Router -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패킷을 적절한 목적지까지 보낸다.

 

 06. OSI 7 Layer 중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는?

     ① Repeater  Router

     ③ Bridge  ④ NIC

 

 07. 네트워크상에 발생한 트래픽을 제어하며, 네트워크상의 경로 설정 정보를 가지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장비는?

     ① 브리지(Bridge)  라우터(Router)

     ③ 리피터(Repeater)  게이트웨이(Gateway)

 

 08. Router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네트워크상의 패킷을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② OSI 7 Layer Transport 계층에 대응된다.

     ③ 하드웨어에 따라 패킷을 다시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거나, 또는 재조립하고, 이들을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캡슐화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④ 패킷 전달을 위해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

 

 09.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며, 네트워크층 간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는?

     ① 브리지(Bridge)  리피터(Repeater)  라우터(Router)  모뎀(MODEM)

 

 10. 리피터(Repeater)를 사용해야 될 경우로 올바른 것은?

     ①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을 때

     ② 세그먼트에서 사용되는 액세스 방법들이 다를 때

     ③ 데이터 필터링이 필요할 때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되는 거리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11. 아래 장치 중 OSI 7 Layer의 물리 계층에서만 사용되는 장비는?

     ① 브리지(Bridge)              리피터(Repeater)

     ③ 게이트웨이(Gateway)     라우터(Router)

 


youtu.be/NL1LUWXI0Z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