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나미디어입니다^^
2016년도~ 2019년도 네트워크관리사 기출문제를
키워드별로 분석해보았습니다.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에서
자주 출제 되는 키워드(서브넷) 별로 분류하였으니,
이 점 참고하셔서 공부하시면 도움 될 듯 합니다.
기출문제 답안은 자주 출제 되는
서브넷 풀이 동영상에서 확인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이론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Ip주소의 공간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서브넷 개념 이용
Ip주소 부분에서 network부분과 host부분을 구분해 주는 역할을 담당
Ip주소낭비를 막기위해 원본 네트워크를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네트워크 주소로 나누는 작업을 의미
01. C Class의 네트워크를 서브넷으로 나누어 각 서브넷에 4~5 대의 PC를 접속해야 할 때, 서브넷 마스크 값으로 올바른 것은?
① 255.255.255.240 ② 255.255.0.192
③ 255.255.255.248 ④ 255.255.255.0
02. C Class의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수가 12개 일 때 분할할 수 있는 최대 서브넷 수는?
① 2 ② 4
③ 8 ④ 16
03. C Class의 네트워크 주소가 '192.168.10.0' 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0' 일 때, 최대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단,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호스트는 제외한다.)
① 10개 ② 14개
③ 26개 ④ 32개
04. C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고 할 때 가장 적당한 서브넷 마스크는?
① 255.255.255.0 ② 255.255.255.192
③ 255.255.255.224 ④ 255.255.255.240
05. C Class의 네트워크를 서브넷으로 나누어 각 서브넷에 4~5 대의 PC를 접속해야 할 때, 서브넷 마스크 값으로 올바른 것은?
① 255.255.255.240 ② 255.255.0.192
③ 255.255.255.248 ④ 255.255.255.0
06. 자신의 IP 정보를 확인 했더니 IP는 '203.254.101.100'이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었다. 이 IP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공인(Public) IP Address이다.
② B Class에 속하는 IP Address이다.
③ 약 65,500개의 내부 PC사용이 가능하다.
④ 멀티캐스트(Multicast) 용도로 사용되는 IP Address로, 일반 용도로 사용되는 PC에서 할당된 경우라면 잘못 할당된 경우이다.
07.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 Class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로 '255.0.0.0'을 이용한다.
② B Class에서 두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한다면, 실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128.0'이 된다.
③ C Class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0'을 이용한다.
④ C Class에서 다섯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한다면, 실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24.0'이 된다.
08. 'C Class'인 IP Adress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0'을 사용했을 경우, '210.111.4.4'와 '210.111.4.5'는 같은 네트워크임을 인식한다.
②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0'을 사용했을 경우, '210.111.104.1'과 '210.111.104.254'는 같은 네트워크임을 인식한다.
③ C Class에서는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128'은 사용할 수 없다.
④ C Class에서 네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한다면, 실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192'가 된다.
09.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 B, C Class 대역의 IP Address는 모두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② 하나의 네트워크 클래스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③ 서브넷 마스크는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가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확인한다.
④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Traffic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네트워크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SSH 요점 및 기출문제 (0) | 2020.10.26 |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IPv4,6 요점 및 기출문제 (0) | 2020.10.2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허브,라우터,리피터 요점 및 기출문제 (풀이동영상포함) (0) | 2020.10.2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RIP, OSPF 요점 및 기출문제 (풀이동영상포함) (0) | 2020.10.2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IP Class 요점 및 기출문제 (풀이동영상포함) (0) | 2020.10.25 |
댓글